함양 백운산 華果院 테마로 ‘영화’를 만들자

구본갑 논설위원 | 입력 : 2018/01/02 [10:58]

 

▲ 바로 이곳이 백운산 화과원. 김광식 교수의 말. “화과원은 백용성 사상이 집약된 대상처로, 백용성은 화과원 만들고 운영하고, 수행하면서 자신의 혁신불교와 민족운동 등 사상을 구현했다.화과원은 민족운동의 기반이 되었으며, 대각교와 화과원의 설립 자체가 항일 불교적 산물이다. 국가 사적 지정의 필요성이 있다.”     © 함양군민신문

 

◆손오공은 화과원에서 태어났다
○…문학과지성사에서 펴낸 『서유기』(오승은 작) 첫 장을 펼치면 ‘화과원’이 나온다.

 

 “옛날 사람들은 이 세상이 네 개의 큰 대륙으로 나뉘고 그사이에 큰 바다가 가로막혀 있다고 하였는데, 그 대륙의 이름을 동승신주, 서우화주, 남섬부주, 북구노주라 불렀다. 동숭신주에 오래국이라는 나라가 있었다. 이 나라는 큰 바다를 끼고 있는데, 그 바다 한가운데 섬에 ‘화과원(花果院·華果院) 이라는 산이 있었다. 온갖 날짐승과 길짐승에 향기로운 풀과 꽃, 나무숲이 우거져 일 년 내내 시들 때가 없으며, 세상의 온갖 과일 열매가 무르익는 화과원이란 이름 그대로 꽃과 과일의 천국이었다”

 

 이 산꼭대기에 신기한 바윗돌이 하나 있었는데, 이 바윗돌은 천지가 처음 열린 이래 하늘과 땅의 정기를 끊임없이 받으며 오랜 세월을 지내오는 동안 차츰 신령한 기운이 서리더니, 어느날 바윗돌 속에서 원숭이 한 놈이 튀어나온다! 요놈이 바로 『서유기』 주인공 손오공이다….

 

○…함양군에도 화과원이 있다. 1927년 용성(龍城)스님이 선농일치(禪農一致)의 가르침을 구현하기 위해 함양땅에 화과원(花果院)을 건립했다. 전북 장수군 죽림정사에서 발간한 <3대대사연보>에 함양 화과원 설립 과정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1927년) 태현(太玄) 동헌스님, 재현(在玄)스님, 최 상궁마마, 고 상궁마마, 그 외 여러 사람, 임동수 거사 등과 합류하여 용성조사를 모시고 경남 함양군 화과원 설립법회에 참례했다. 과수 수만주를 심고 동시에 일하면서 참선수행하고, 참선수행하면서 일을 하는 선농불교를 일으켰다. 조선불교 참선수행의 새로운 국면을 열었으니 일본제국주의 식민통치 조선총독부 아래의 힘겨운 사원경제를 극복하여 나아가 우리 민족의 자력갱생(自力更生)의 경제력을 향상함으로써 민족경제를 회복하는 역량을 기르고자 함이었다”

 

 함양 화과원은 과수원을 비롯한 논밭 등의 토지는 물론 법당과 포교공간을 구비하고 있었다. 선원(禪院)과 어린이들의 교육공간도 갖추고 있었다. 앞서 밝혔듯이 수행에만 머물지 않고, 자리이타(自利利他), 상구보리하화중생(上求菩提下化衆生)의 가르침을 현실 세계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목적이 컸다.

 

 화과원의 과수원에서는 감나무, 밤나무, 배나무 등을 경작했고, 밭에는 감자를 재배했으며, 논농사도 함께 했다. 이와 함께 임야(林野)에는 벚나무, 진달래, 작약, 산벚나무, 월계화(月桂花), 단풍 등 다양한 종류의 나무와 꽃을 심었다.

 

 최영호 동아대 교수는 “화과원은 농장이나 과수원의 의미보다는 경성 대각교당의 지부인 교당(敎堂)이나 선원(禪院)의 포괄적인 명칭으로, 논밭, 과수원과 법당, 교육공간 등의 건축물을 모두 포함한다”면서 “반선반농(半禪半農)의 수도 생활을 했던 선승들과 함께 지역사회의 아이들도 노동 인력으로 참여했다”고 말한다.
 
◆용성스님 후예 혜원스님을 친견하다
○…몇해전, 함양땅에 ‘화과원’이 존재한다는 걸 우인섭 인터넷함양신문 대표로부터 전해 들었다. “구형(필자) 불교에 대해 쪼께이 알고 있는 것 같은데? 용성조사가 어떤 분이요?” “용성이라? 처음 들어보는 이름인데요?” “그래요? 누가 그라던데 성철조사나 경허선사보다 원력이 큰 스님이라카던데? 오늘 (내가) 용성조사가 세웠다는 화과원에 가는데, 같이 안 갈라요?”

 

 화과원은 경남 함양군 백전면 백운리 50번지 백운산(白雲山)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지난  2000년 8월 경상남도 기념물 제299호로 지정됐다. 공식 명칭은 ‘함양 백용성 선사 화과원 유허지(咸陽 白龍城 禪師 花果院 遺墟址)’다. 화과원에 당도하니 혜원 스님이 객들을 반겨준다.  우선 용성조사의 행장기를 전해 들었다.

 

 “용성 조사께서는 1864년 이 세상에 오셨지요. 선사께서는 14세때(1877) 꿈속에서 부처님을 친견하고 부처님으로부터 마정수기(摩頂授記)와 정법의 부촉을 받았다고 합니다. 마정수기란 열심히 수행하는 사람(보살)에게 부처님이 나타나셔서 이마를 어루만지시며 미래에 부처가 될 것이라고 인정을 받는 의식을 말합니다. 선사는 16세에 출가, 23세까지 깨달음을 위한 철저한 수행을 했지요. 이때를 가리켜 불교에서는 오도수행기라고 말합니다. 선사는 나이 20세 때 금강산 표훈사로 들어가 무융선사의 지도를 받아 무자화두(無字話頭)를 참구하게 됩니다. 용성스님은 금강산 무융선사를 만나 ‘천수주’를 지송하고 자신의 근원에 대한 의정을 품고 6일만에 통 밑이 빠지는 것과 같은 경지를 체험합니다” 
 
 “혜원스님, 천수주란 뭔가요?”

 

▲ 『천수다라니경』 삽화.     © 함양군민신문


 “천수주는 <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의 주문(呪文)을 말합니다. 경전에 의하면 천수주는 관세음보살님이 과거 천광왕정주여래라는 부처님에게서 전해 받은 다라니를 말합니다. 관세음보살은 보살 초지라는 경지에 머물러 있었는데, 이 다라니를 한 번 듣고는 단박에 보살 8지의 경지로 뛰어올랐다고 합니다. 대단한 경전이지요”

 

▲ 백용성 스님의 친필 글씨.     © 함양군민신문

 

 이후, 용성스님은 전남 승주 송광사 삼일암, 경기 양주군 도솔암 등지에서 용맹정진하신다. 세월이 흘러, 1900년 용성스님은 천하의 선지식들을 만나기 위해 중국으로 건너간다. 1907년 중국 북경 관음사에서 동안거를 지낼 때 일화가 있다. 용성스님은 관음사 방장으로부터 대선지식으로 추앙 받으면서 법거량을 하여 중국 승려에게 선지를 일러준다. 그의 명성이 중국에서 널리 알려져 멀리서 찾아오는 선객들이 수없이 많았다고 한다.

 

 1927년 용성스님은 뜻한 바 있어, 함양으로 내려와 화과원을 설립한다. 계속되는 혜원스님의 말씀. “용성 스님은 화과원을 세우려고 백운산 땅을 30여정(町·약 9만평)을 샀습니다. 여기에다 삼나무 밤나무 만그루를 심어, 허허 서유기에 나오는 화과원처럼  세상의 온갖 과일 열매가 무르익는 천국을 맹길러고 하셨지요. 한편 이곳은 조선독립운동의 요새로 유명했습니다. 감나무 밤나무에서 생산된 재원을 상해임시정부로 흘러간 거예요 허허”

 

 “끝으로 용성스님에 대해 정의를 내린다면?”

 

▲ 백용성 스님 존영.     © 함양군민신문

 

 “용성 대종사는 선교율에 정통했던 당대의 선지식이었습니다. 노장께서는 대각교를 창립, 새로운 불교운동을 일으킨 선각자였으며 민족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민족의 지도자였습니다. 선사께서 열반하셨다는 소식을 듣고 김구 선생이 펑펑 울었다고 합니다…”

 

◆영화 ‘오세암’ 버금 가는 에피소드
○…지난 12월 8일 함양군은 화과원 국가사적 지정 학술 세미나를 함양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주제발표 및 토론을 통해 화과원의 국가사적지 지정을 위한 당위성과 향후 시민들의 공감대 형성을 바탕으로 2018년도에 사적지 지정 신청서를 문화재청에 제출한다는 계획으로 추진하게 됐다. 함양군 관계자는 “화과원은 기미독립선언의 민족대표 33인 중 한분인 백용성 선사께서 일제 탄압을 피해 우리군 백전면 백운산 황무지와 임야를 개간해 농장을 조성하고 수익금을 상해임시정부와 북간도의 독립투사들에게 군자금으로 보내 독립운동을 지원하는 중요한 거점 역할을 했던 곳”이라며 “국가사적지 지정을 위해 이번 세미나에 군민들의 많은 관심과 참석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8일 오후 1시, 필자는 세미나를 듣기 위해 함양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을 찾았다.

 

 제1부 사회는 이재신 함양군청 문화관광과 주무관이 맡았다. 제2부 주제발표 사회는 홍사성 불교평론 주간이 맡았다. 1주제: 화과원 역사와 성격, 2주제: 백용성 사상과 화과원에서의 저술활동, 3주제: 백용성의 독립운동 자금지원과 화과원  4주제: 화과원의 문화관광 콘텐츠 개발과 활용방안 순으로 진행됐다. 필자는 특히 ‘4주제’에 관심을 쏟았다. 이재수 동국대학교 불교학술회 교수가 주제발표를 했다.

 

 “(이재수 교수의 말) 화과원의 가치를 체험하고 교육하며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합니다. 즉 화과원의 선농불교, 혁신불교, 백용성의 대각교 의식, 선불교를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화과원이 민족독립운동과 인문학연구 중심이자 복합문화공간으로서 근대 민족교육을 위한 콘텐츠가 필요하다는 말씀입니다. 그리고 스토리텔링 기법을 통해 백용성과 화과원 관련된 다양한 스토리를 발굴해야 합니다. 끝으로 함양지역의 인문지리적 특성을 연계해 설화나 역사 및 유관한 함양의 전통사찰, 함양의 대표 문화자원과 연게한 지역문화 콘텐츠를 만들자, 지역설화는 물론 지역주민들의 구술도 현대적으로 풀어내는 과정도 스토리텔링이다. 이때 관련된 이야기를 통해 지역축제나 문화관광 측면에서 화과원을 조망해야 한다”

 

▲ 영화 ‘오세암’의 한 장면.     © 함양군민신문

 

 이재수 교수의 주제발표를 듣고, 필자는 문득 정채봉 동화작가가 쓴 동화 ‘오세암(五歲庵)’이 문득 떠올랐다. 정채봉 선생은 연전, 오세암에 떠돌아다니던 설화를 수집해 한편의 동화로 만들어 독자들의 심금을 울렸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어린 조카와 함께 설악산의 암자에 기거하던 승려가 있었는데, 산 아래에 혼자 내려갈 일이 있어서 조카에게 ‘혼자 있는 것이 무섭거든 관세음보살님의 이름을 외우며 지내거라’고 말하고 암자를 떠났다. 그런데 승려가 산을 내려간 뒤 설악산에 엄청난 폭설이 내려서 도저히 암자로 돌아갈 수 없었다. 결국 봄이 되어서 눈이 다 녹은 뒤에야 암자로 올라갔는데, 놀랍게도 조카는 멀쩡하게 살아 있었다. 어찌된 연유인지 까닭을 물으니 조카가 말하길 관세음보살이 때마다 찾아와 보살펴 주었다는 것. 승려는 관세음보살의 신력(神力)에 감동해 암자의 이름을 오세암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화과원에도 ‘오세암’과 같은 야화가 있다. 용성스님 문중 혜원스님(산청군 보현사 주지)은 함양이 낳은 불세출의 명리학자 제산 박재현 도사의 스승 숙천 선생 속세 아들이다.

 

▲ 소지공양 혜원 스님(산청군 생초면 보현사).     ©함양군민신문

 

혜원스님, 그는 어떤 경로를 거쳐 스님이 되었나? 혜원 스님은 손가락을 불태웠다. 이른바 소지공양. 손가락을 불태우지 않으면 안 될 사정은 뭐 였던가?

 

 혜원 스님의 유년시절과 불교 입문과정을 추적해보면 정채봉 작가의 동화 ‘오세암’ 버금 가는 멋진 콘텐츠를 얻어낼 수 있을 것이다. 함양의 눈 맑은 글꾼이여, 혜원 스님을 통해 함양판 ‘오세암’을 창작해 보시라!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